파킹통장을 들어보셨나요?
차를 주차장에 파킹(parking)하듯이 돈을 잠시 보관하는 용도로 쓰는 통장을 말합니다.
하루만 돈을 맡겨도 이자가 나오는 장점이 있습니다.
수시입출금통장보다 금리가 높은 대신 대게 한도가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1금융권인 시중은행, 인터넷은행의 파킹통장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표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제일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곳은 토스은행으로 보이네요.
일단위 이자 지급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매일 이자를 받기 위해서는
매일 직접 어플에 들어가서 이자받기를 눌려야 하는 점을 기억해주세요.
1. 1억이상의 넉넉한 목돈이 있다면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을 활용하는 게 유리해보입니다.
2. 특히 케이뱅크는 10개까지 쪼개기 기능이 있어 활용하기 좋아 보입니다.
예를 들어 여행자금/부모님용돈/내선물 등등.. 구분해서 보관하면
한눈에 보기에도 깔끔할 것 같네요.
. 3. 시중은행, 지방은행은 한도도 작고, 나이제한이 있는 경우가 많네요.
최근 재테크에 관심이 많아진 MZ세대에 맞춤 상품으로 보입니다.
해당 은행 계좌가 있을 경우, 그곳의 파킹통장을 이용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최저임금 "9620원" (0) | 2022.07.01 |
---|---|
한미 금리 역전 우려...괜찮을까? (0) | 2022.06.28 |
기준금리? (0) | 2022.05.02 |
DSR, LTV? (0) | 2022.04.08 |
BIS자기자본비율, 자본비율 (0) | 2022.04.02 |